협동로봇 소식
News
-
협동로봇(코봇) 솔루션 업체인 푸른기술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AW 2025)’에 협동로봇 시리즈 ‘심포니(SYMPHONY)’로 전시부스를 마련했다고 12일 밝혔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이날부터 14일까지 사흘 동안 서울 삼성동 코엑스 전관에서 진행된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개 업체가 2200여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 회사는 ‘AW 2025’ 전시장에서 각종 가반하중(Payload) 성능을 갖춘 코봇 ‘심포니’를 대거 전시했다. 플래그십 모델 6종(심포니-5, 10, 15, 25, 30, 40)을 모두 공개했다. 모델에 표기된 숫자는 각각 가반하중을 뜻한다. 각 모델은 사용자가 직접 로봇 가동을 티칭하는 ‘직접 교시(Direct Teaching)’가 간편한 점이 특징이다. 로봇 동작을 스위치로 제어하는 ‘콕핏(Cockpit)’ 기능,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충격성을 극대화한 설계 등이 내재화됐다. 이 회사가 이번에 출품한 ‘심포니-25’와 ‘심포니-40’은 고(高)가반하중 모델로, 향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중량물 이송을 보조하는 ‘핸드가이던스’와 ‘팔레타이징’ 작업에 특화된 두 모델에는 토크 센서 6개가 내장돼 각종 충돌을 방지하는 기능이 담겼다. ‘모바일 레이저 용접 시스템’도 이번에 새로 선보였다. 이 제품은 협동로봇, 제어기, 용접기, 가스 및 주변장치가 탑재된 상태에서 작업장소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어 용접작업의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푸른기술 관계자는 “이번에 전시한 제품 중 ‘심포니-40’은 세계 최초로 최대 40kg의 중량을 다루는 협동로봇”이라며 “무게에 대한 저항을 유지해 균형 있는 동작을 지원하는 ‘중력 보상(Gravity Compensation)’ 알고리즘이 탑재돼 고중량 물체를 다루는 공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구현한다”고 강조했다. 이 회사는 ‘심포니’로 ISO10218-1ISO 13849-1 Cat3 PL d 등 국제표준화기구(ISO)가 부여하는 인증은 물론, NRTL·CE·자율안전확인신고(KSc) 등 국내외 안전 표준을 획득했다. 굿모닝경제 곽유미 기자 출처 : 굿모닝경제(https://www.goodkyung.com)
-
[AW 2025 프리뷰] 코봇 ‘심포니’ 앞세운 푸른기술, 인간과 로봇의 ‘조화’ 예고
협동로봇(코봇) 솔루션 업체 푸른기술이 ‘2025 스마트공장·자동화산업전(Smart Factory+Automation World 2025, 이하 AW 2025)’에 협동로봇 시리즈 ‘심포니(SYMPHONY)’가 가득 들어찬 전시부스를 마련한다. AW 2025는 아시아 최대 규모 스마트 팩토리 및 자동화 산업 전문 전시회다. 이번 전시회는 3월 12일부터 사흘 동안 서울 강남구 삼성동 소재 전시장 ‘코엑스’ 전관에서 펼쳐진다. 올해 전시회는 500여 개 업체가 2200여 개 부스를 마련해 차세대 산업 기술·솔루션과 인사이트를 전한다. 이를 관전하기 위해 약 7만 명의 참관객이 전시장을 방문할 전망이다.푸른기술은 정밀 기계·전자 공학(Mechatronics), 인공지능(AI) 기반 인식 등 기술을 보유했다. 이러한 기술적 역량을 바탕으로 지난 2007년 코스닥에 데뷔했다. 현재 스마트 팩토리, 금융·역무 자동화 등 영역에서 활약하고 있다. AW 2025 전시장에서는 각종 가반하중(Payload) 성능을 갖춘 코봇 심포니를 강조할 예정이다. 플래그십 모델 3종 ‘심포니-5(SYMPHONY-5)’, ‘심포니-10(SYMPHONY-10)’, ‘심포니-15(SYMPHONY-15)’를 공개한다. 모델에 표기된 숫자는 각각 소화 가반하중을 뜻한다. 세 모델은 사용자가 직접 로봇 가동을 티칭하는 ‘직접 교시(Direct Teaching)’가 간편한 점이 특징이다. 아울러 로봇 동작을 스위치로 제어하는 ‘콕핏(Cockpit)’ 기능, 직관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내충격성을 극대화한 설계 등이 내재화됐다. 이번 푸른기술 전시부스의 하이라이트는 ‘심포니-25(SYMPHONY25)’와 ‘심포니-40(SYMPHONY-40)’이다. 양 코봇은 고가반하중 모델로, 향후 출시를 앞두고 있다. 핸들링(Handling)·팔레타이징(Palletizing) 작업에 특화된 두 모델에는 토크 센서 6개가 내장돼 각종 충돌을 방지한다. 푸른기술 관계자는 “이 중 심포니-40은 세계 최초로 최대 40kg의 중량을 다루는 협동로봇”이라고 소개하며 “무게에 대한 저항을 유지해 균형적인 동작을 지원하는 ‘중력 보상(Gravity Compensation)’ 알고리즘이 탑재돼 고중량 물체를 다루는 공정에서도 안정적인 성능을 구현한다”고 강조했다. 푸른기술의 심포니는 ISO10218-1ISO 13849-1 Cat3 PL d 등 국제표준화기구(ISO)가 부여하는 인증을 비롯해, NRTL(Nationally Recognized Testing Labratory)·CE(Conformite Europeene)·자율안전확인신고(KSc) 등 국내외 안전 표준을 따른다. 한편, AW 2025는 국제공장자동화전(aimex), 스마트팩토리엑스포(Smart Factory Expo), 한국머신비전산업전(Korea Vision Show) 등 세 가지 전시 테마를 구성했다. 올해 전시회 캐치프레이즈는 ‘자동화에서 자율화로(Automation to Autonomy)’로, 자율제조 시스템으로의 도약이 주요 테마다. 여기에 물류 최적화 방법론을 제시하는 ‘스마트물류특별관’이 배치되고, ‘CEO SUMMIT’·‘AW Docent Tours’·‘AW 오픈 이노베이션 라운드’등 부대행사가 진행된다. 이어 ‘2025 산업 지능화 컨퍼런스’, ‘지능형 로보틱스 컨퍼런스’, ‘한·중·베 로봇 융합 기술 컨퍼런스’, ‘산업용 사물인터넷 이노베이션 데이’, ‘머신비전 기술 세미나’, ‘무역협회 해외 바이어 수출 상담회’ 등 총 200여 개 세션의 콘퍼런스가 마련돼 산업 내 다채로운 혁신 방법론이 제시될 예정이다.
-
푸른기술이 치과 임플란트 수술보조 로봇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푸른기술은 이 시스템을 개발해 서울대치과병원 보철과(박지만 교수)와 연세대치과대학병원 치주과(정의원 교수), 울산대학교 융합의학과(김남국 교수), 한국기계연구원(조장호 박사)의 공동연구팀과 시험견을 대상으로 전임상 시험을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 시스템은 환자 맞춤형 마커의 구내 마커와 CBCT 데이터를 기반으로 치과의사가 전용 컴퓨터지원설계(CAD) 시스템을 이용해 컴퓨터에서 임플란트 위치를 사전에 디자인하고, 수술실에서 구외 마커의 항법기반으로 로봇·환자·영상을 실시간 정합해, 임플란트 수술용 핸드피스를 조작하는 치과의사가 로봇의 햅틱 가이드 하에 정밀하게 임플란트 수술을 하는 시스템이다. 핵심 기술은 △경량 소형화 치과치료 시술용 6축 협동로봇 플랫폼 △로봇암 컴플라이언트 제어·햅틱 가이드기술 △물리적, 광학적 트래킹을 통해 환자의 움직임을 보상해 환부 위치를 정확히 추종하는 로봇암 제어·여유 자유도 제어 기술 △계획 및 로봇을 제어하는 소프트웨어 등이다. 이번 치과 임플란트 수술보조 로봇 시스템 프로젝트는 산업통상자원부에서 ‘로봇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이라는 국책과제의 지원 하에 5개 단체(푸른기술·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한국기계연구원·서울대학교 산학협력단·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가 총 66억원의 투자비를 들여 2019년부터 4년간 진행했으며, 오는 12월 경 마무리될 예정이다.
-
푸른기술, 국내외 없던 가반하중 40kg 협동로봇 연내 개발 완료 계획
푸른기술은 고(高)가반하중 협동로봇인 ‘심포니25’(가반하중 25kg급)와 ‘심포니40’(가반하중 40kg급) 모델을 연내 개발완료 할 계획이라고 10일 밝혔다. 가반하중 40kg 협동로봇은 2022년 산업통상자원부의 ‘로봇산업 핵심 기술개발사업’에 푸른기술이 주관 연구기관으로 선정되어 고려대, 경희대, 세이프틱스 등의 공동 연구기관과 함께 올해 말까지 연구를 수행 중이다. 특히 가반하중 40kg 협동로봇은 국내외에서 협동로봇으로는 출시된 제품이 없다는 점에서 그 상징성이 크다. 푸른기술은 2022년 협동로봇 ‘심포니15’ (가반하중 15kg, 작업반경 1300mm)를 출시한 데 이어, 올 4월에는 자체 개발한 협동로봇 ‘심포니5’ (가반하중 5kg, 작업반경 850mm)와 ‘심포니10’ (가반하중 10kg, 작업반경 1300mm)을 추가로 출시했다.2012년 국내 최초로 협동로봇 개발을 시작한 푸른기술은 2016년에 국내 최초로 ‘7축 협동로봇’을 개발해 필드에서 성공적으로 실증했다. 이 기술을 바탕으로 현대자동차그룹사인 현대위아와 6축 협동로봇을 공동으로 개발해 출시한 모델이 ‘심포니15’로, 푸른기술의 협동로봇 제품에는 20여 년간 축적된 다양한 개발, 품질 및 제조 노하우가 담겨있다. 푸른기술 협동로봇의 모델명인 ‘심포니(Symphony)’는 사람과 로봇의 조화로운 작업을 의미한다. 협동로봇은 일반 산업용로봇과 달리 안전펜스없이 사람과 같이 작업할 수 있도록 설계된 로봇으로, 안전하고 다루기 쉽고 다양한 작업 공정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장점 때문에 제조현장 외에 물류, 푸드테크 및 의료 등 전문 서비스 분야로 그 영역을 급속도로 확장하고 있다. 푸른기술에서 출시한 심포니 시리즈는 ‘유럽 CE인증’(ISO 10218-1 인증 포함)과 ‘국제기능안전인증’(ISO 13849-1 등)을 받아 협동로봇으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했다. 푸른기술 관계자는 “최근 협동로봇 시장은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으로 그 영역을 넓혀가고 있는 동시에, 고가반하중 협동로봇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며 “고중량 작업물을 핸들링해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예방 및 안전을 담보할 수 있는 손쉬운 솔루션이 협동로봇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랜 기간 차분히 준비했던 협동로봇 사업을 본 궤도에 올리려고 노력 중”이라며 “고가반하중 협동로봇을 포함한 지속적인 모델 라인업과 협동로봇 판매, A/S 및 시스템 엔지니어링 지원 등 판매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사 구축 및 제조 이외에도 물류, F&B, 의료 등 다양한 전문서비스 분야 진출에도 힘을 기울이고 있다”고 덧붙였다.
-
푸른기술, 현대차그룹 현대위아와 개발한 자동차 생산 로봇 매출 지속 발생
업무자동화 장치 개발기업 푸른기술이 신사업으로 추진 중인 산업용 로봇의 매출이 꾸준히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현대자동차그룹 계열사 현대위아와 공동개발한 협동로봇의 매출이 최근에도 계속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제조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로봇까지 갖추고 있는 푸른기술은 아직은 초기 단계인 로봇 시장이 본격적인 성장기에 돌입할 경우 수요가 늘어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6일 본지 취재를 종합하면 푸른기술이 현대위아와 공동개발한 가반하중 15kg 6축 협동로봇 ‘심포니15’의 매출이 계속 발생하고 있다.